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 참여하지 않으면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단 3분 투자로 정부 24 앱에서 간단히 참여하고, 과태료 폭탄을 피하세요!

     

    주민등록 사실조사 기간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정부가 국민의 거주 실태를 파악해 행정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비대면과 대면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비대면 참여 기간에는 정부 24 앱으로 단 3분 만에 끝낼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참여 완료해 주세요.

     

     

    주민등록 사실조사
    [주민등록 사실조사 비대면 참여하기]

     

     

    조사 기간과 방식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아래와 같이 3단계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1단계인 비대면 참여는 간편하고 빠르기 때문에 가장 권장되는 방식입니다.

     

    기한 내 앱으로 완료하지 않으면 방문조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기간 참여 방식
    비대면 조사 2025년 7월 21일 ~ 8월 31일 정부 24 앱 참여
    방문 조사 2025년 9월 1일 ~ 10월 23일 이·통장 및 공무원 방문 
    자진신고 감면 2025년 10월 24일 ~ 11월 20일 정부 24 앱 또는 주민센터

     

    주민등록 사실조사1주민등록 사실조사2주민등록 사실조사3
    [주민등록 사실조사]

     

     

    주민등록 사실조사 비대면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2025년 7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진행됩니다.

     

    특히 비대면 참여 기간은 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로, 정부 24 앱을 통해 간편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참여를 하지 않으면 9월 1일부터 10월 23일까지 방문조사가 이어집니다.

     

     

    비대면 참여방법

     

    참여는 매우 간단합니다.

     

    앱 설치부터 정보 제출까지 단순한 절차만 따르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어요.

     

    단, 반드시 등록된 주소지에서 GPS를 켜고 진행해야 합니다.

     

    ✅ 비대면 참여 기간 : 2025. 07. 21. ~ 08. 31.

    비대면 참여 방법 : '정부 24 앱' 간편 참여

     

    • 스마트폰에 [🔍정부24 앱 설치] 및 로그인
    • 앱 메인화면의 ‘주민등록 사실조사’ 배너 선택
    • GPS 권한 허용 및 본인 인증 진행
    • 세대 정보 확인 후 ‘사실과 같음’ 선택 및 제출
    • 세대주 또는 세대원 1인만 참여해도 전체 반영

    ※ 단, 이사나 세대정보 변경 시에는 ‘사실과 다름’을 선택해야 하며, 이후 방문조사가 진행됩니다.

     

    주민등록 사실조사4
    주민등록 사실조사5
    [주민등록 사실조사 비대면 참여]

     

     

    방문조사 대상자

     

    모든 참여자가 비대면으로 끝낼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비대면 조사라도 특정 대상자는 추가 대면 조사가 진행될 수 있으니 자세히 확인해 주세요.

     

     

    중점 조사 대상

     

    아래 대상자들은 반드시 실사 확인이 필요해, 앱으로 완료하더라도 방문조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대상 사유
    100세 이상 고령자 실거주 여부 확인
    장기 거주불명자 거주지 확인 필수
    사망 의심자 행정 등록 정비
    복지 취약계층 복지 누락 방지
    장기 결석 및 학령기 미취학 아동 아동 안전 점검

     

    주민등록 사실조사6주민등록 사실조사7주민등록 사실조사8
    [주민등록 사실조사]

     

     

    주민등록 사실조사 과태료

     

    사실조사에 참여하지 않거나 허위 사실을 기재할 경우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다만, 10월 24일부터 11월 20일까지 자진 신고하면 과태료의 50~80%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있다면 반드시 이 기간에 정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과태료 부과

     

    • 정당한 사유 없이 고의로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거부한 경우
    • 최소 10만 원 ~ 최대 50만 원까지 차등 적용
    • 상황에 따라 감면 또는 가중 가능
    • 사전 자진신고 50~80% 경감 가능
    • ex) 주소지만 등록, 거주 불명 상태 → 자진신고 시 과태료 50%

    주민등록 사실조사9주민등록 사실조사10주민등록 사실조사11
    [주민등록 사실조사]

     

     

    자주 묻는 질문(FAQ)

     

    Q1.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도 참여할 수 있나요?

    • A1. 네, 세대원 중 한 명만 참여해도 전체 세대가 참여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Q2. 비대면 조사 시 세대 정보가 사실과 다르다면?

    • A2. 반드시 '사실과 다름' 선택 이 경우, 대면 조사 또는 사전 수정 후 재참여가 필요합니다.

     

    Q3. 집이 아닌 직장에서 해도 되나요?

    • A3. 불가능합니다. GPS 기준으로 등록된 주소지에서만 참여가 인정됩니다.

     

    Q4. 스마트폰 GPS를 허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 A4. 위치 인증이 되지 않아 비대면 조사 참여가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GPS를 켜야 합니다.

     

    Q5. 조사 기간을 놓쳤다면 어떻게 되나요?

    • A5. 자진신고 감면 기간에 주민센터 또는 정부 24를 통해 수정하면 과태료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Q6. 참여하지 않으면 무조건 과태료가 부과되나요?

    • A6. 고의로 불참하거나 기피할 경우 최대 50만 원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서류 제출로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단, 증빙자료가 필요합니다.

     

    Q7. 실제 거주지가 다르면 어떻게 처리되나요?

    • A7. '사실과 다름'을 선택 후 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 미이행 시 거주불명 등록이 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 사실조사12주민등록 사실조사13주민등록 사실조사14
    [주민등록 사실조사]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내 복지, 세금, 교육 서비스와 직결된 중요한 과정입니다.

     

    비대면 참여를 통해 시간도 절약하고, 불필요한 과태료도 피할 수 있어요.

     

    작년에 놓쳐서 방문조사를 받았다면, 올해는 미리 비대면으로 참여해 보세요.

     

    정부 24 앱만 설치하면 누구나 가능하니,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주민등록 사실조사15주민등록 사실조사16주민등록 사실조사17
    주민등록 사실조사18주민등록 사실조사19주민등록 사실조사20
    주민등록 사실조사21주민등록 사실조사22주민등록 사실조사23
    주민등록 사실조사24주민등록 사실조사25주민등록 사실조사26
    주민등록 사실조사27주민등록 사실조사28주민등록 사실조사29
    [주민등록 사실조사]